<고전학파(古典學派)>
1. 시기 : 18C 중반 - 19C 중반
2. 의의
- 18C 후반의 산업혁명을 배경으로 하여
영국을 중심으로 형성된 산업자본주의의 경제사상
3. 경제사상과 주장
1) 국부의 원천은 노동에 의한 생산증대
-> 노동가치설
2) 사익과 공익의 조화에 의한 자유방임주의
-> 보이지 않는 손의 철학
3) 세이의 법칙
4) 리카도 이후에는 경제적 이해대립이 내재
-> 지주, 자본가, 노동자간의 계급분석
4. 경제정책
1) 자유방임에 의한 국가간섭의 배제
-> 보이지 않는 손에 의한 사익과 공익의 조화
(예정조화론)
2) 비교생산비설에 입각한 자유무역주의
5. 대표적 학자
1) 스미스 : 국부론(1776) -> 분업에 의한 생산증대를 중시
2) 리카도 : 정치경제학과 조세의 원리(1817)
-> 분배원리의 중시
3) 맬더스 : 인구론(1798) -> 수확체감의 중시, 비관적 견해
4) 세이 : 세이의 법칙, 부분적 과잉생산설
5) 밀 : 경제학원리(1848) -> 고전파의 집대성,
생산과 분배원리의 절충
(참고)
1. 세이의 법칙
: 공급은 스스로 수요를 창조한다는 것으로
생산(공급)이 되면 그 가치만큼 소득이 창출되고,
이 소득이 수요가 되어 일반적 과잉생산없이 소비된다는 것.
이 법칙에 의하면,
국민소득은 공급에 의해 결정되며,
수요에는 전혀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2. 비교생산비설
: 각국이 자국내에서 생산비용이 비교적 우위인 상품만을
집중적으로 생산하여 잉여분을 수출하고,
대신에 비교 열위인 상품을 수입하여 소비하면,
무역당사자국 모두가 이익을 얻게 된다는 이론.
주식,파생투자자들에게 다양한 정보 제공. by 자유투자자
공지사항
카테고리
글 보관함
Total :
Today : Yesterday :
Today : Yesterday :
04-12 15: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