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락하였습니다.
프리미엄이 높다 보니, 2% 이상의 변동에도 불구하고
양매도에서는 이익이 발생했습니다.
이런 이유로 전문가라면,
양매도를 할만하다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전문가의 경우에는 장중의 큰 변동성에도
부동심을 잃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죠.
주식매매중에 부동심을 잃는다면,
전문가라고 하기가 그렇죠.
국민연금은 장기투자자이므로
절대 손해볼 일이 없다라고 주장하는 이들이 많습니다.
언뜻 들어보면, 맞는 말 같기는 합니다.
지수란 것이 항상 사이클을 가지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매입을 한다면,
지수가 높은 시기에서 매도를 하여 이익을 볼 수가 있죠.
과연 그럴까요?
국민연금의 딜레마는 상당히 많습니다.
첫째로, 국민연금의 보유비중이 너무 높은 편이라
보유주식을 해결하기가 어렵다는 것입니다.
지금만 해도 주식 투자규모가 대충 86조라고 합니다.
이건 투자라기 보다는 규모만 늘리고 있는 것이죠.
이런 식으로는 수익을 올리기가 애매하죠.
평가이익과 실제이익은 큰 차이가 있죠.
뿐만 아니라, 이런 높은 주식규모는
나중에 문제를 야기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국민연금의 매도물량을 받아줄 주체가 없다는 것이죠.
즉, 국민연금이 지속적으로 매수할 시기에는 지수가 상승을 할 가능성이 높지만,
그 이후에는 지수상승의 걸림돌이 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죠.
(이건 좋게 이야기 한 것이고, 실제로는 긴 조정이 나올 수도 있습니다.)
자주 다른 국가의 연금과 비교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만,
이것은 애매하다고 봅니다.
친구따라 강남가는 것도 아니고,
외국 연기금의 행태가 규범이 될 수가 없죠.
그리고 다우지수와 우리나라 종합주가지수는 차원이 다르죠.
비유하기가 애매하기는 합니다만,
다우지수가 블루칩이라면, 코스피지수는 잡주죠.
투자대상이 다른데, 같은 기준을 제시하는 것은 문제가 있죠.
둘째로, 보유한 주식의 기업이 비우량기업이 되거나 상장폐지되는 경우입니다.
물론 국민연금의 경우에 우량주에만 투자를 하겠습니다만,
지금 우량기업이라고 해서 앞으로도 우량기업이라고는 할 수 없죠.
몇십년간의 세월속에서 우량기업을 유지하는 기업이 많은 것은 아니죠.
어떤 기업들은 비우량기업이 될 수도 있고,
또 어떤 기업들은 사라질 가능성도 있습니다.
확률적으로 낮긴 합니다만,
국제적인 경제환경 급변으로 국내경제에 엄청난 영향을 줄 수도 있죠.
이런 경우에는 주식투자가 회복 불가능의 상황이 될 수도 있습니다.
장기투자자라고 할지라도
투자대상에 문제가 생기면 어떻게 할 수가 없죠.
세째로, 정부성향에 따른 압력입니다.
지금이야 정부가 자신들의 이익을 위하여
국민연금의 주식투자비중을 제고시키고 있습니다만,
정권교체가 발생하여 어떤 이유로
주식투자비중을 줄이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국민연금이 난처한 상황에 빠지게 되죠.
특히, 경제상황이 좋지 않아 바닥권에서 이런 상황에 빠지면, 엄청 곤란해지죠.
이런 경우에 결국 손해를 보게 되면,
이를 회복하기가 쉽지가 않게 됩니다.
정치인들이야 자신들의 이익을 위해 움직이지
국민연금의 상황을 고려하지는 않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현 정부만 하더라도 착각을 했죠.
주식투자비중을 높이게 되면,
자신들의 정권보유기간내에서 지수가 3천을 갈 것이라 예상했는데,
국제환경이 아주 좋지 않게 되다보니,
지금 현재 상황이 된 것입니다.
아마도 국제환경이 우호적이었다면,
3천에 근접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가 없죠.
지금이야 국민연금의 전체규모가 상대적으로 작은 편이라
그나마 큰 문제가 생긴 것은 아닙니다만,
앞으로 규모가 커진 상황에서 이런 정책오류가 발생한다면?
국민들은 엄청난 댓가를 치루게 될 것입니다.
이외에도 문제들이 많죠.
국민연금이 장기투자자라고 할지라도 수익을 보장하기에는 무리가 있는 것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주식비중을 높이자는 것은
자신들의 이익을 위해 국민연금이 희생해야 한다는
이기주의적인 발상에 불과합니다.
여러 사이트들에서 이런 이기적인 사람들의 주장을 많이 보게 되죠.
그들은 과연 국민연금을 내기는 할까요?
---
<호재>
1. 유동성 풍부
2. 중국(아시아)의 지속적인 경제발전
3. 국민연금의 지속적인 자산증가.
<악재>
1. 유럽(영국, 동유럽, 남부유럽 등)문제
2. 금융불안(상업용 부동산, 주정부 재정적자 등)
<상황>
변동성이 큰 상황.
시장대응을 잘 해야 하는 시기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