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락하였습니다.
그러나, 변동성에 비해 옵션프리미엄의 변화가 작아
양매도에서는 이익이 발생하였습니다.
단기적으로 거의 바닥권에 근접한 영향이라고 보여집니다.
특별한 악재가 없는 이상에는
다음 주에는 눈치보는 장세가 이어지다가
그 다음주부터 상승을 모색하지 않을까 합니다.
단기적인 예상이므로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어쩌면 다음 주부터 상승세가 나올 가능성도 있습니다.
단기적으로 나올만한 악재는 다 나온 것 같네요.
한국은행이 금리를 인상했습니다.
물가때문이라고 하는데,
뒤늦은 행동이라고 봐야겠죠.
이미 물가는 정부당국이 어떻게 할 수 있는 것이 아니죠.
정말 의지가 있다면,
환율을 낮추는 등의 선제적인 대응을 해야죠.
공공요금에 대한 분석도 하면서 말이죠.
오늘 인상은 사실상의 쇼라고 봐야 할 것입니다.
이렇게 물가를 걱정하고 있다는 식의 말이죠.
별 의미가 없다고 생각됩니다.
채무자에게 가장 유리한 환경은
돈의 가치가 떨어지는 것입니다.
그리고 채무자 중에서 가장 규모가 큰 채무자들은
각국의 정부들이죠.
보는 눈들이 많기 때문에
겉으로는 인플레이션을 막으려고 하겠지만,
속으로는 엄청 좋아하고 있으면서,
화폐가치가 더 떨어지길 바라고 있을 수도 있습니다.
나중에 어느 정도 시기가 무르 익으면,
그리고 엄청난 혼란을 야기한 다음에
화폐개혁을 들고 나오겠죠.
그러면서 기존 부채를 털어 버리고 말입니다.
물론 희생양들이 필요할 것 같고요.
아님 그 책임을 과거 정치인에게 떠 넘길 수도 있겠네요.
경우에 따라는 현재 존재하는 정당들이
사라질 가능성도 있습니다.
이합집산을 하는 것이죠.
지금 당장의 일은 아닐 것입니다.
그러나, 시기의 문제일 뿐,
언젠가는 닥쳐올 일이죠.
개인적인 문제는 알면서도 대처를 할 자금이 없다는 것입니다.
여유가 없어서 말이죠.
아마도 대부분의 서민들이 저와 같은 신세일 것이라 생각되네요.
최소한 알고는 있어야 한다는 점에서
글을 적어 봅니다.
---
<호재>
1. 유동성 풍부
2. 중국(아시아)의 지속적인 경제발전
3. 국민연금의 지속적인 자산증가.
<악재>
1. 유럽(영국, 동유럽, 남부유럽 등)문제 - 현재 잠복중
2. 금융불안(상업용 부동산, 주정부 재정적자 등) - 현재 잠복중
3. 출구전략 대두
<상황>
지리한 기간조정을 이어갈 것으로 추정.
경기에 대한 기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