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승하였습니다.
그러나, 반응이 늦은 옵션가격으로 인하여
양매도에서는 수익이 발생하였습니다.
가격반응이 늦은 것도 한 이유지만,
상황상 조정가능성이 있어 풋옵션가격이 늦게 반응한 면도 있죠.
최근의 주가흐름을 보면,
왜 위험을 감수하면서 주식매수를 해야 하는지를
잘 보여준다고 하겠습니다.
어느 정도 위험을 감수하지 않으면,
고수익을 올리기가 힘들죠.
그런데, 위험을 감수해야 한다는 사실을 간과해서는 안됩니다.
대체적으로 위험감수를 하고 들어가서 이익을 봅니다만,
가끔 엄청 터지는 경우도 있죠.
확률적으로 전자가 더 확률이 높긴 합니다만,
문제는 후자의 경우에 손실이 더 크다는 것입니다.
손절을 잘 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이런 방법이 좋다고 하기는 어렵습니다.
결과적으로 손절을 얼마나 잘 하느냐가 관건이라고 하겠습니다.
실전경험을 이야기하자면,
주식, 파생 모두 합해서 20년 정도 된 것 같은데,
제가 깨달은 것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손절을 잘 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익은 누구나 낼 수가 있습니다.
이익이 난 상황에서는 어떻개 대처를 해도 별 문제가 없죠.
그러나, 손실이 난 상황에서는 대처하기가 참 어렵습니다.
주식이나 파생에서 큰 낭패를 보는 대부분이
결과적으로 위험관리(손절)를 잘 못하기 때문이죠.
주식의 경우에
손절을 잘 하지 못하더라도
여유자금을 투자한 경우에는 결국 시간싸움입니다.
재무구조가 좋지 않은 기업에 투자를 한 경우를 제외하고
우량주에 투자한 경우에 대체적으로
나중에 손실이 복구되거나 이익을 보는 경우도 있습니다.
버티기를 잘 하면 되는 것이죠.
그러나, 파생의 경우에는 시간이 한정되어 있는 관계로
이런 버티기도 할 수가 없습니다.
파생의 경우에 더 손절이 중요하다는 것이죠.
금융시장에서 성공하고 싶으면,
우선적으로 손절하는 기법을 배워야 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손절을 잘 하는 사람이 나중에 성공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합니다.
위험관리를 잘 해야 하는 것이죠.
더불어 투자성공 확률을 높인다면 금상첨화겠죠.
---
<호재>
1. 유동성 풍부
2. 중국(아시아)의 지속적인 경제발전
3. 국민연금의 지속적인 자산증가.
<악재>
1. 유럽(영국, 동유럽, 남부유럽 등)문제 - 현재 잠복중
2. 금융불안(상업용 부동산, 주정부 재정적자 등) - 현재 잠복중
3. 출구전략 대두
<상황>
지리한 기간조정을 이어갈 것으로 추정.
경기에 대한 기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