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보합으로 마감하였습니다.
오늘은 보합세임에도 불구하고 약간의 손해를 보았습니다.
풋옵션의 프리미엄이 상대적으로 많이 올랐네요.
기간조정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한참 매수세와 매도세가 맞붙어 싸우는 형편이네요.
외부변수가 없다면,
당분간 기간조정이 이어질 것으로 추정됩니다.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면 기본적으로 주가가 상승하게 됩니다.
그러나, 이것은 항상 일어나는 현상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인플레이션이 발생하게 되면,
일반적으로 임금도 상승하게 됩니다.
그러면 가처분소득이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소비도 증가하게 됩니다.
이는 선순환을 가져와 국가경제에도 좋은 효과를 가져오게 되죠.
그러나, 지금처럼 외부요인에 의하여 인플레이션이 발생하게 되면,
기업은 오히려 비용을 절감하려고 노력하게 됩니다.
이에 따라 임금 등이 상승하기 보다는
동결 혹은 삭감되는 효과가 발생하게 됩니다.
이에 따라 가처분소득이 줄어들게 되어
소비가 줄어드는 효과가 발생하죠.
결과적으로 경제에는 악영향을 주게 됩니다.
이런 경우에는 금융자산에 대한 투자도 줄어들게 되어
주가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주게 됩니다.
물론 이런 현상은 일률적으로 이렇다 하기는 어렵습니다.
기대심리가 나타나게 되어 상황이 다를 수 있고,
기업마다 상황이 다르기 때문에
각 기업에 소속된 근로자들의 상황도 다릅니다.
이에 따라 그 영향도 천차만별로 달라지게 되죠.
소득이 증가한 가계도 있을 것이고,
반대로 동결되거나 삭감된 가계도 있습니다.
따라서 소비상황이 다르게 되죠.
다만, 분명한 것은 전체적으로 보아
가계소득이 그렇게 많이 증가하지는 않을 것 같다는 것입니다.
그만큼 국내경제는 여전히 침체를 거듭할 것으로 추정됩니다.
뿐만 아니라, 과거와 달리 준조세 성격의 연금 등이 소득에서 제외되는 상황이라
소비가 금방 되살아나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가계의 부채규모도 장난이 아니고요.
그나마 이 정도의 인플레이션은 별 것이 아닙니다.
만약 어떤 원인으로 인하여 초인플레이션이 발생한다면,
금융자산도 붕괴될 수 밖에 없죠.
문제는 이미 과도한 유동성이 공급된 상황이라
초인플레이션의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는 것입니다.
유동성에 대한 통제가 이루어져야 하는데,
그것이 쉽지도 않을 뿐만 아니라,
이미 통제력을 상실한 것이 아닌가 하는 의구심이 생깁니다.
---
<호재>
1. 유동성 풍부
2. 중국(아시아)의 지속적인 경제발전
3. 국민연금의 지속적인 자산증가.
<악재>
1. 유럽(영국, 동유럽, 남부유럽 등)문제 - 현재 잠복중
2. 금융불안(상업용 부동산, 주정부 재정적자 등) - 현재 잠복중
3. 출구전략 대두
<상황>
하방경직성을 유지하면서 저점 높여가고 있음.
경기에 대한 기대 가능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