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보합으로 마감하였습니다.
양매도로서는 즐거운 하루죠.
아마도 이번 물도 큰 변화는 없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갑작스러운 외부변수에 의한 급변동은
주의를 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됩니다.
고공권이라서 언제든지 상황변화가 일어날 수가 있는 형편입니다.
주의를 하는 것이 좋겠죠.
개인적인 느낌인데,
(맞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는 의미입니다.)
서서히 물량정리를 하는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 봅니다.
세력들도 급하게 물량을 정리하지는 않죠.
분할매도를 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아무래도 매수해주겠다는 사람들이 있을 때,
매도로 대응하는 것이 좋죠.
기본적으로 주식은 시세차익을 위한 것입니다.
오래 보유한다고 해서 돌아오는 이익은 배당 이외에는 없죠.
경영권을 얻을 것도 아니고 말입니다.
결과적으로 보유를 오래할수록 기회비용만 생기는 셈입니다.
이건 기관이건 세력이건 마찬가지입니다.
따라서 평가이익보다는 실현이익이 중요하죠.
이런 점에서 지금은 고공권이며,
과대평가된 상태라고 자신있게 이야기할 수 있습니다.
물론 더 갈 수도 있습니다.
세력이나 전주들이 더 가겠다고 한다면, 누가 말릴 수가 없죠.
그러나, 일반투자자들의 입장에서
나중에 세력들보다 빨리 매도할 기회를 가질 수 있으면 모르겠지만,
그렇지 않다면, 미리 분할매도로 대응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비록 더 올라가더라도 말입니다.
연기금이라는 것이 항상 방어군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
정권이 바뀌게 되면, 사정이 달라질 수 있죠.
혹은 한 번 호되게 당하고 되면,
보유물량과 수익률 때문이라도 함부로 달려들지 못하게 됩니다.
온갖 욕을 다 들을테니까요.
연기금으로 주식투자를 하는 자체가 문제죠.
왜냐하면 주식투자는 고위험 고수익을 취하는 곳이기 때문입니다.
연기금 자금의 성격과는 다르죠.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식투자를 하고 있는 것은
한 마디로 멍청한 행위에 불과합니다.
차라리 그 자금으로 원재료(원자재, 원유)나 곡물 혹은 금을
사는 것이 오히려 더 정상이라고 할 수 있죠.
연기금이 주식을 매수하는 자체가
기득권층의 이익을 위한 행위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세력들이 연기금을 잘 이용하는 방법은 박스권인데,
세력들도 박스권을 함부로 사용하기가 어렵죠.
아마도 어느 정도까지 박스권을 형성하다가
어느 순간에 확실하게 벗겨 먹을 것이라 생각됩니다.
연기금 과연 국민들의 연금을 잘 지킬 수가 있을까요?
---
<호재>
1. 유동성 풍부
2. 중국(아시아)의 지속적인 경제발전
3. 국민연금의 지속적인 자산증가.
<악재>
1. 유럽(영국, 동유럽, 남부유럽 등)문제 - 현재 잠복중
2. 금융불안(상업용 부동산, 주정부 재정적자 등) - 현재 잠복중
3. 출구전략 대두
<상황>
하방경직성을 유지하면서 저점 높여가고 있음.
내년 경기에 대한 기대 가능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