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보합으로 마감하였습니다.
별다른 것은 없습니다.
오락가락하고 있는데요.
대충 이제 오를 시기가 된 것으로
추정을 하고 있습니다.
기관과 세력들은 어느 정도
2사분기 실적을 알았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보통 이들은 일반투자자들에 비해
정보나 소식이 빠른 편이죠.
일일 매매상황을 보면,
외인은 아래, 개인은 위인데요.
이게 큰 의미가 있는 것은 아니고요.
지금은 더욱 그렇습니다.
시장 분위기가 좋기 때문이죠.
당분간 봐야 할 것은
거래량이라고 생각됩니다.
과연 얼마나 거래가 이루어지며,
추세가 어떻느냐에 따라
상황이 달라질 것으로 봅니다.
시장분위기가 좋으니까,
증권사 등이 낙관적인 견해를 보이는데요.
이거야 상황에 따라서 얼마든지
변화할 수 있는 것이죠.
큰 의미가 있는 것은 아닙니다.
증권사가 신뢰를 잃은 것은
오래된 이야기죠.
문득 그런 생각을 해 봅니다.
지금도 유동성이 엄청 풀렸는데요.
여기서 더 유동성이 풀려나올 수 있을까?
하는 점입니다.
지금과 같은 상황에서 금융위기가
한 번 닥친다면 위정자들이
과연 어떻게 나올까요?
또 돈을 풀까요?
사실 다른 방법이 없는 상황인데요.
여기서 돈을 더 풀게 되면
돈 가치가 크게 하락한다고 봐야죠.
아마도 물가도 가만히 있지 않을 것으로
생각을 할 수 있는데요.
위정자들이 할 수 있는 것은
돈을 더 푸는 것 이외에는 할 수가 없죠.
당장 위기를 연장시켜야 하니까요.
시간을 연장시킨다는 의미입니다.
그 다음의 문제는 나중 일이죠.
아마도 위정자들은 그렇게 나올 것 같습니다.
그렇게 서민들만 죽어나는 것이죠.
여기서 돈을 더 풀게 된다면
지난번과는 다르다고 봐야 합니다.
상황에 따라서 다르겠지만요.
저는 그렇게 생각합니다.
지난번과는 다르다고요.
아마도 쉽게 돈을 풀기도 어렵겠지만요.
그래도 할 수 있는 것은
그것밖에 없기 때문에 결국
돈을 풀게 되어 있다고 봅니다.
시간문제라고 봐야죠.
그렇게 경제상황이 엉망이 될 것으로 봅니다.
물론 전제조건인 금융위기가 문제인데요.
이게 나올지 안 나올지는 두고 보면 알 수 있죠.
제 생각과 다른 금융위기가
나올 수도 있고요.
그것을 해소할 수 있는 뭔가가 나온다면
이야기가 달라질 수 있지만,
과연 그런 것이 나올 수 있을까요?
이건 두고 봐야죠.
시간이 답을 줄 것이라 생각합니다.
---
<호재>
1. 유동성 풍부
2. 국민연금의 지속적인 자산증가.
<악재>
1. 유럽(영국, 프랑스, 동유럽, 남부유럽 등)문제
2. 금융불안(상업용 부동산, 정부 재정적자 등)
<상황>
시장대응을 잘 해야 하는 시기임.
투자를 쉬는 것이 좋다고 판단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