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보합으로 마감하였습니다.
아직 별다른 변화는 없네요.
일시적으로 숨 고르기를 하는 것처럼 보입니다.
개인적인 생각이지만요.
아직은 알 수가 없다고 봐야죠.
그런데, 옵션매매현황에서
지속적으로 외인들이 위를 보고 있네요.
일일 매매상황을 보면,
외인은 위, 개인은 아래를 보고 있습니다.
개인들이 조정을 보는 것 같은데요.
외인들이 지속적으로 위를 본다는 점에서
과연 개인들의 생각이 맞을지는
일단 두고 봐야 할 것 같습니다.
보통 보면 외인들이 이기는 경우가 많죠.
물론 두고 봐야 하겠지만요.
아루매도 일반투자자들의 입장에서
정보를 얻는 방법은 한정적입니다.
내부정보를 얻는 아주 운 좋은 경우가
정말 드물게 있지만,
그런 경우는 거의 없다고 봐야죠.
따라서 보통은 인터넷에 떠도는 정보를
얻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니면 지인으로부터 듣는 정보죠.
보통 이런 정보는 이미 널리 알려진
정보라고 보는 것이 좋습니다.
자신에게 들어왔다는 것은
아주 널리 퍼진 정보라고 봐야죠.
아니면 다른 의도가 있는 정보일 수도 있고요.
결국 그런 정보는 위험한 정보라고 하겠습니다.
그런 정보를 잘 활용하는 사람도
없지는 않을 것이라 봅니다만,
보통은 낭패를 보는 경우가 많죠.
이것보다는 덜 위험한 정보가 있습니다.
바로 신문기사 등을 통해
유추를 해 낸 정보인데요.
이런 정보는 경우에 따라서
상당히 괜찮은 정보가 될 수도 있죠.
문제는 이런 정보를 얻기 위해서
신문기사의 행간을 읽을 수 있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이런 능력을 가진다는 것이 쉽지 않죠.
그리고 신문기사를 본다는 것이
그리 쉬운 작업이 아닙니다.
몇 시간동안 많은 시간을 소비해서
신문기사를 본다고 해서
얻을 수 있는 정보는 한정적이고,
그나마도 별로 보잘것 없는 경우가 다반사이니까요.
쓸데없는 기사들도 엄청 많죠.
정보의 홍수 속에서 괜찮은 정보를 얻는다는 것이
그리 쉬운 작업이 아니죠.
어떻게 보면 중노동이기도 하고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렇게 하는 것은
정보의 가치가 그만큼 크기 때문입니다.
괜찮은 정보 하나만 얻더라도
상당한 이익을 얻을 가능성이 있죠.
중요한 점은 행간을 읽는 능력인데요.
이건 신문기사를 적는 기자도
파악하지 못하는 것을 알아채는 것입니다.
이런 능력은 정말 쉽지 않은 것이죠.
잘 아시다시피 신문기자는
다른 사람이나 정보원을 통해
얻은 것을 그대로 혹은 자신의 의견을 토대로
적은 경우가 보통입니다.
그래서 가끔 왜곡된 신문기사도 있는데요.
행간을 읽는 능력은 이런 점들을
전부 고려할 수 있어야 하죠.
일반적으로 큰 일이 벌어지기 전에
신호가 나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문제는 보통 사람들의 경우에
그런 신호를 캐취하기가 어렵다는 것이죠.
사실 그동안 수많은 정보가 나왔지만,
이게 시기를 알 수 없다는 점에서
제대로 평가를 받지 못한 것들이 많죠.
하여간 결론적으로 이야기해서
신문을 읽은 면서
있는 그대로 보는 것은 별 의미가 없습니다.
행간을 읽을 수 있어야 하고요.
그 작업은 엄청난 노력과 시간을 요하는 작업이죠.
하나의 괜찮은 정보를 얻기 위해서
정말 엄청난 수고와 노력 그리고 시간를 투자해야 합니다.
보통 사람들은 이것을 잘 모르죠.
단 한 줄의 정보를 위해서
엄청난 노력과 시간이 소요되었다는 것을
알지 못하는 것입니다.
정보의 가치를 모르는 것이죠.
그런 사람들은 운 좋은 소수를 제외하고는
결국 낭패를 볼 뿐입니다.
정보의 가치를 제대로 파악할 수 있어서
성공한 투자자가 되고 싶나요?
아니면 일반적인 보통 사람이 되고 싶은가요?
그것은 결국 자신에게 달려 있습니다.
정보가치를 제대로 평가하지 못하는 사람은
아무래도 성공하기 어렵다고 봐야죠.
저는 그렇게 생각합니다.
요즘 로보어드바이저에 대해 관심이 많습니다.
아직 초반이라 문제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앞으로 그 위상이 달라질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로보어드바이저의
장단점에 대해 글을 올린 적이 있는데요.
아래 글을 참고하시고요.
(2016/05/05 - 개인적으로 추정하는 로보어드바이저의 장단점)
로보어드바이저인
드라코랩스 슈팅스타에 대해서는
다음 글을 참고하시고요.
(2016/05/08 - 로보어드바이저 드라코랩스 슈팅스타 소개)
---
<호재>
1. 유동성 풍부
2. 국민연금의 지속적인 자산증가.
<악재>
1. 유럽(영국, 프랑스, 동유럽, 남부유럽 등)문제
2. 금융불안(상업용 부동산, 정부 재정적자 등)
<상황>
시장대응을 잘 해야 하는 시기임.
투자를 쉬는 것이 좋다고 판단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