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 노화를 막는 길은

바로 튼튼한 장.

 

 

 

 

 


우리 몸 중에 끊임없이 활동하는 기관은 뇌 심장 위 장 등등 다양한데요.
그런데 말이죠. 노화의 징후가 제일 먼저 나타나는 부분은

장과 신장이라고해요.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 장과 신장이 얼마나 큰 부담을 짊어지는지는
장기마다 배분되는 혈액량만 보아도 알 수 있는데요


심장은 1분에 약 5L의 혈액을 내보내는데 그 중 30%가 위와 장으로,
20%가 신장으로, 15%가 뇌로, 15%가 골격근으로 보내진다죠.


보통 우리 몸이 뇌를 중심으로 움직인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을텐데 그러나
생명유지를 위해 매일 가혹한 노동을 견디는 것은 뇌가 아닌 장~!


그러므로 내버려두면 장이 급속히 노화될 수밖에 없겠죠,


지나치게 살이 찌면 몸속에 세포를 노화시키는

‘활성 산소’와 ‘최종 당화 산물’이 많아지고,
장 속에는 부패균인 유해균이 늘어난답니다.

 

늘어난 유해균들은 세포를 훼손하여
몸을 노화시키는 주범이 된다죠.


최근 연구 결과에 따르면

살이 찔수록 장 속에 유해균이 비정상적으로 늘어나
조금만 먹어도 살이 찌는 체질로 변한다고 하는데요.

 

따라서 장의 노화와 비만, 모두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유익균에게 유리한 장내 환경을 만드는 일이 무엇보다 시급하다하죠.


하여 유익균을 살리는 방법의 핵심인

식이섬유가 풍부한 채소를 섭취하는 것이좋다죠


식이섬유에는 물에 녹는 수용성과 물에 녹지 않는 불용성이 있는데,
장내 세균은 수용성 식이섬유를 더 좋아한다고해요.

 

장내에서 발효시키기가더 쉽기 때문이라죠.

 

일단 장내에 식이섬유가 들어오면 그것을 먹고 사는

장내 세균의 활동이 왕성해져 발효가 잘 이루어지고,
그 결과 세균이 늘어나 장내 환경이 더욱 좋아지게 된답니다.


대표적인 수용성 식이섬유는

다시마, 미역 등 해조류와 곤약에 많이 들어있다합니다.


불용성 식이섬유 역시 장 건강에 중요한 영양소인데요
불용성 식이섬유는 강한 섬유로 이루어진 식물 세포벽이 주성분이라
인간의 소화액으로는 분해할 수 없다고해요.


또 수용성 식이섬유처럼 물에 녹지 않으므로

 수분을 흡수하여 부풀어 오르죠


불용성 식이섬유는

이런 강인함과 팽창성으로 장내에 쌓인 음식 찌꺼기와 세균의 사체,
장 세포의 사체를 얽어매어 대변으로 만드는 역할을 한답니다.


음식찌꺼기, 세균의 사체, 장 세포의 사체 등은

장에 쌓이는 쓰레기와도 같아 이를 방치하면

장내에 유해균이 증식하여 부패 물질을 내뿜게 된답니다


결국 그 부패 물질이 장내 환경을 망치고

장기를 손상시켜 몸을 늙게 만드는 것이죠


불용성 식이섬유는 강력한 흡인력으로 이러한 부패 물질을 빨아들여
대변으로 배출하는 장내의 진공청소기~!.


그래서 콩류와 버섯류 등에 많이 들어있는

불용성 식이섬유를 충분히 섭취하면
장내에서 유해균이 우세해지거나 살이 찔 위험이 없어진다고 하네요.


콩과 버섯류를 자주 섭취해야하는 이유가 하나 더 늘었네요 ^^
다이어트는 못해도 더 살을 더함은 없어야 하니 말이죠 ㅋ

 

 

 

 







BLOG main image
주식,파생투자자들에게 다양한 정보 제공. by 자유투자자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5868)
주식기초(입문) (206)
경제(투자)이론 등 (19)
재테크(재무설계) (272)
재테크 기초 (44)
보험상식(상품) (59)
경제斷想 (483)
파생투자 (12)
시장斷想(투자일지) (3134)
IT, 인터넷 (161)
교육 (58)
게임, 스포츠 (192)
사회, 건강 (217)
일상생활 (603)
공무원,취업,자격증 (186)
개인회생 (31)
기타 (164)
웨딩 (11)

글 보관함

Total :
Today : Yesterday :
02-24 02: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