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힐도
3년 이내로 신으면 건강에 도움
여성들이 보다 늘씬해 보이기 위해서도 많이 신는 하이힐은 종아리, 발목,
발의 통증을 유발할 수 있음은 많이들 아실 것 같은데요.
하지만 하이힐은 발과 다리에
비정상적인 압력을 가해 무릎관절염, 발가락 기형 등
다양한 질환을 일으키기도 한다죠.
그런데 최근 한 연구에 따르면 하이힐을 신은 처음 몇 년 간은
오히려 발목을 강화하는 긍정적인 기능을 하기도 한다고 하는군요
학술지 국제임상진료저널에 실린 이 논문은
항공 승무원이 되기 위해 공부하는
여대생들의 발 상태를 관찰하는 방법으로 진행됐다고 하는데요
대학생들이 수업에 참여할 때 보편적으로 신는 신은 운동화이지만
승무원을 준비하는
여대생들은 실습에 참여할 때 하이힐을 신는다죠.
대학교에 막 입학한 1학년생은
난생 처음 하이힐을 신기 때문에 1학년 때부터
졸업할 때까지 발 상태를 관찰하면 여성이 하이힐을 신기 시작한
초기 몇 년 간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데
연구팀은 1학년에서 4학년 때까지 총 4년 동안 이 여대생들의
발과 다리 상태를 관찰했다고 합니다.
실험실에서 전산화된
운동기계와 굽히면 독특한 소리가 나는 섬유판을 이용해
이들의 균형감각 및 발목의 힘을 시험했다합니다.
그러자 놀랍게도 학생들은 하이힐에 익숙해질수록
발목이 튼튼해지는 경향을 보였다죠.
2학년과 3학년 학생들은 1학년 학생들에 비해
발목 주변의 근육이 단단했다고요.
문제는 4학년이 된 이후라고 하는데요
이때부터는 오히려 발목 근육이 약해지기 시작했고,
이로 인해 발의 균형감각 역시 떨어졌다고 해요.
연구팀은 미국 일간지 뉴욕타임스를 통해
하이힐을 신고 적응하는 처음 몇 년간은 오히려 근육이 강화되는
경향을 보인다며 하지만 좀 더 시간이 흐르면 결국 균형감과
안정감이 떨어지게 된다고 주징했다고요.
궁극적으로는 하이힐이 발과 다리 건강에 해롭다는 것.
그렇다면 발 건강을 지키면서 하이힐을 신는 요령은 무엇일까.
가급적 하이힐을 신지 않는 것이 좋겠지만
아직까지 공식적인 자리에서는 정장과 하이힐이 모범답안이라
어쩔 수 없이 하이힐을 신을 수밖에 없는 상황이 온다죠.
이럴 때는 7㎝ 이상의 굽은 피하는 것이 좋다고요
또 장시간 하이힐을 신은 날에는
귀가 후 발과 다리를 스트레칭 해주어야 한다죠.
무릎 뒤쪽 오금줄과 신발 앞쪽으로
쏠렸던 발가락이 풀리도록 스트레칭을 해주면 도움이 된다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