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끄러워도 잘 자는 이유?
뇌에 소음 막는 기능
예민한 사람은 잠자리만 바뀌어도 잠을 못 자는가하면 또 반면
아주 시끄러운 환경에서도 일단 잠이 들면 잘 자는 사람들도 있죠.
이렇게 어떤 사람은 사이렌이 시끄럽게 울려도 잠을 잘 자는 반면
어떤 사람은 모기의 날갯짓 소리에도 쉽게 잠을 깨는 이유는
뇌 속 전기 신호의 차이 때문이라고 해요.
미국 하버드의대 제프리 앨런보겐 박사의 연구에 의하면
12명의 남녀에게 수면실에서 3일 동안 밤에 잠을 자게하고
첫 날은 잠자기 좋게 조용하고쾌적한 환경을 만들어 주었답니다.
하지만 이튿날에는 알람 소리, 사람들의 대화 소리, 자동차 소리 등
시끄러운 요소들을 투입했고 셋째 날에는 이보다 소음을 더 키운
환경을 만들었다해요.
이들의 잠자는 패턴을 관찰했더니 어떤 사람은 시끄러운 환경에서도
잠을 잘 잔 반면 어떤 사람은 거의 잠을 자지 못했다죠.
잠을 잘 잔 이들의 뇌를 관찰했더니
뇌 속 시상에 있는 스핀들(spindle)이라는
뇌파가 많이 생성됐다고 하는데요.
스핀들이 뇌로 들어오는 소음을 막아주는 역할을 했던 것.
앨런보겐 박사는 우리는 어떤 사람들은
왜 시끄러운 환경에서도 잠을 잘 자는지 알고
싶었다며 우리는 소음이 많은 현대사회에서도 깊이 잘 잘 수 있는
해결책을 찾으려 한다고 말했다죠.
연구팀은 왜 일부 사람만 스핀들을 더 많이 만들어 내는지
정확한 이유를 밝히지 못했다죠
하지만 뇌의 시상부위에서 만들어지는 스핀들이
소음을 뇌의 다른 곳으로 분산시켜 뇌가 시끄러운 곳에서도 방해받지 않고
잠을 잘 수 있는 것으로 추측했다죠.
앨런보겐 박사는 타고난 뇌의 기능도 중요하지만
좋은 침대, 두꺼운 커튼, 쾌적한 온도의 침실, 취침 전 운동하지 않기도
숙면에 도움이 된다며 일정한 시간에 자고 일정한 시간에 일어나는
규칙적인 생활이 가장 중요한 조건이라고 말했다네요.
음 전 잠잘자는 사람이 참 부럽던데
제게는 타고난 뇌기능이 없나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