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승하였습니다.
반등다운 반등이 나왔네요.
양매도에서는 이익이 제법 발생했고요.
풋옵션의 프리미엄이 급격하게 하락한 덕분입니다.
일일 매매상황을 보면,
외인은 보합, 개인은 아래를 보고 있습니다.
조정의 연속이라고 봐야죠.
일단 반등이 나왔는데요.
그렇다고 조정이 마무리된 것은 아닙니다.
조금 더 지켜볼 필요가 있죠.
추가적인 조정이 나오지 말라는 법도 없고요.
확률적으로 낮은 편이긴 하지만,
추가적인 재료가 나올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죠.
보통은 크게 2가지의 경우입니다.
하나는 기간조정을 보이는 경우이고요.
또 하나는 잠시 오락가락하다가
급등세를 보이는 경우인데요.
상황에 따라 다르다고 봐야죠.
개인적으로 일단 전자를 보고 있는데요.
시간이 필요하다고 보기 때문입니다.
그렇다고 해서 다른 가능성이 없는 것도 아니고요.
지켜봐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시장에서는 항상 낙관적인 것부터
비관적인 전망까지 모든 것이 항상 존재합니다.
그 시기에 어느 것이 더 각광을 받느냐에 따라
시장상황이 달라지는 것이죠.
가끔 의외의 변수로 인하여
큰 변화가 나오기도 하고요.
그만큼 시장상황을 예상하기가 어려운 것입니다.
이게 쉽다면 투자자들이 대부분 부자가 되었겠죠.
중요한 것은 시장대응인데요.
항상 모든 가능성에 대해
대비책을 세워두는 것이 좋습니다.
그래야만 탄력적으로 대응을 할 수 있는 것이죠.
가능성을 염두에 두지 않는다면
그에 대한 대비책도 없을 것이고요.
우왕좌왕하게 되는 것입니다.
그렇게 되면 시장실패를 경험하게 되는 것이죠.
발생할 확률도 중요하지만,
발생가능한 모든 가능성을 염두에 두는 것도 중요하죠.
여기에 그에 대한 대비책을 마련하는 것도 중요하고요.
그런 것이 되어 있다면
시장이 어떻게 변화를 해도 대응이 가능하게 되는 것입니다.
말로는 쉬운데,
직접 투자를 하다보면 항상 잊어버리는 것이죠.
개인적으로 기간조정의 가능성이
제일 크다고 보고 있는데요.
다른 가능성도 염두에 두는 것이 좋다고 봅니다.
아마도 상황에 따라 다르겠죠.
---
<호재>
1. 유동성 풍부
2. 국민연금의 지속적인 자산증가.
<악재>
1. 유럽(영국, 프랑스, 동유럽, 남부유럽 등)문제
2. 금융불안(상업용 부동산, 정부 재정적자 등)
<상황>
시장대응을 잘 해야 하는 시기임.
투자를 쉬는 것이 좋다고 판단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