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킹문제는 전세계적인 문제 |
우리나라에서 심심하면 발생하는 것이
바로 개인정보 누출인데요.
내부직원 등이 의도적으로 누출하고 있는 경우도 있고,
해킹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경우도 있죠.
이처럼 해킹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데요.
우리나라만 그런 것이 아닙니다.
인터넷이 되는 세계 모든 곳에서
해킹이 발생하고 있죠.
전해들은 이야기에 의하면,
해커들이 자신들의 위치를 발각당하지 않기 위하여
전세계적으도 돌아다니면서 해킹을 한다고 합니다.
즉, 자신의 컴에서 바로 접속을 하는 것이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돌아다녀서 자신의 위치를 감추고는
해킹을 시도한다는 것이죠.
그러다보니 보안이 취약한 지역이나 나라는
항상 해커들의 중간 경로가 된다고 하네요.
해킹문제는 다른 나라에서도 심각하다고 하는데요.
최근 미국에서는 은행 전산망을 해킹해
현금인출기(ATM)의 돈을 무단으로 빼가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고 합니다.
미국 연방금융회사검사위원회(FFIEC)에 의하면
해커들이 은행 내부 전산망에 침투해
고객 돈을 훔쳐가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면서,
은행 홈페이지를 겨냥한 디도스(Ddos·분산서비스거부) 공격도 계속되고 있어,
특히 보안이 취약한 중소은행들이
막대한 손실을 입을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FFIEC는 해커들이 은행 ATM의 내부 통신망에 접속해
종전에 유출된 카드 번호와 비밀번호를 바탕으로
입, 출금 한도를 바꾼 뒤,
한 번에 돈을 빼가는 수법을 쓰고 있다고 합니다.
여러 대의 ATM에서 동시다발적으로 현금을 빼내,
짧게는 4시간에서 길게는 이틀에 걸쳐
몰래 돈을 빼가고 있다는 것입니다.
FFIEC는 구체적인 피해 기관을 적시하지는 않았지만,
불과 12개 계좌에서
한 번에 4000만달러(423억원)를 훔쳐간 피해사례도 있다고 밝혔습니다.
해커들이 계좌에 있는 현금보다 더 많은 돈을 빼 갈 수 있도록
내부 전산망을 조작했기 때문인데요.
금융기관들은 이런 해킹 위협을 막기 위한 대비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권고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직접적으로
금융기관이 공격을 받은 상황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앞으로 그럴 가능성은 상당히 크다고 봐야죠.
왜냐하면 이미 상당히 많은 개인정보가 누출되었기 때문에
얼마든지 은행에 고객을 가장하여
해킹을 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인터넷이 되면 해킹은 충분히 가능하다고 봐야죠.
게다가 ATM도 상당히 취약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두 가지를 연결하게 되면 충분히 가능한 이야기가 되죠.
요즘 각광을 받고 있는 사물인터넷의 경우도 마찬가지라고 봅니다.
사물인터넷의 경우에도 인터넷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얼마든지 해킹을 당할 수가 있습니다.
이게 가장 취약한 부분이라고 보는데요.
앞으로 보안산업이 얼마나 발전하느냐에 따라
사물인터넷의 상황은 달라질 것으로 추정되네요.
그런데, 중요한 점은
막는 쪽보다는 뚫는 쪽이 훨씬 빨리 발전한다는 것이죠.
어떻게 보면 우리나라 금융기관이 아직 털리지 않은 것은
귀찮기도 상당히 귀찮고,
해킹을 해도 별 효익이 크지 않기 때문이라고 생각되는데요.
(아니면 실제로 이미 털린 적이 있을 수도 있고요.
그런 사건이 벌어지면 공신력 문제가 생기므로
금융기관들이 쉬쉬하고 있을 수도 있죠.)
혹은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상황이 특수한 것도
해킹이 발생하지 않은 이유일 수가 있죠.
그렇다고 해서 안심할 상황은 아니라고 봅니다.
이미 많은 개인정보가 누출되어 있기 때문이죠.
해커들이 이런 개인정보를 이용하여
충분히 해킹을 시도할 가능성이 크다고 봐야죠.
하여간 해킹문제는 우리나라만의 문제는 아닌 것 같습니다.
전세계적으로 문제인 것이죠.
위에서는 미국만 예를 들었는데,
유럽이라고 해서 다른 것은 없다고 봅니다.
그리고 앞으로 보안과 해커의 전쟁은
지속될 것으로 추정되네요.
인터넷이 있는 한, 거의 영구적이 아닐까 합니다.
어떻게 보면 기술이 발전할수록
치명적인 문제점이 발생할 여지는 높아지는 것 같습니다.
비록 그 확률이 희박하더라도 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