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년 8/31일 주식시장과 파생시장 단상
약보합으로 마감하였습니다.
오락가락하고 있습니다.
미국의 금리인상 문제는
지속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이죠.
그 자체는 그리 큰 변수가 아니라고
저는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올해 기껏 올라보았자
0.25%에서 0.5% 정도인데요.
이 정도로는 큰 변수라 하기 어렵죠.
다만 상승추세라는 것이 문제인데요.
글쎄요.
사람들마다 생각이 다르겠지만,
내년에 새로운 정부가 시작된다는 점에서
과연 금리인상이 지속될 수 있을까요?
저는 다소 회의적이네요.
그런 면에서 지금 너무 민감하게
반응한다고 생각됩니다.
물론 제 개인적인 생각이죠.
아마 나중에 실제로 금리인상이 된다고 하더라도
심리적인 요인을 제외하고는
경제적으로 큰 의미가 있지는
않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환율부분에서 민감하게
반응할 가능성이 있긴 합니다.
워낙 유동성이 많이 풀려 있으니까요.
이게 다소 문제이긴 한데,
글쎄요.
이 부분도 장담하기는 어렵죠.
일일 매매상황을 보면
외인은 아래, 개인은 위를 보는데요.
분위기는 별로 안 좋은 편입니다.
앞으로 흐름이 중요한데요.
지금과 같은 흐름이 이어질지
아니면 중간에 변동성이 나올지
그건 지금으로서는 알 수가 없네요.
변동성이 나올 가능성이 있다고 보는데요.
그 시기도 뭐라고 하기 어렵고요.
애매모호하네요.
뭔가 한 번 정도는
준동이 나올 것 같기도 한데요.
시기적으로 그게 언제일까요?
추석 이후?
아니면 FOMC회의 결과가 나온 이후?
혹은 추석전?
아니면 없는 것일까요?
단기적인 예상이라 그런지
정말 어렵습니다.
지금과 같은 흐름이
계속될 것 같지는 않은데 말이죠.
일단 두고 봐야 할 것 같습니다.
지금으로서는 뭐라고 하기 어렵네요.
다만 추석전일 가능성은
상대적으로 낮다고 보고 있습니다.
장담하기는 어렵지만요.
지켜보기로 하죠.
---
<호재>
1. 유동성 풍부
2. 국민연금의 지속적인 자산증가.
<악재>
1. 유럽(영국, 프랑스, 동유럽, 남부유럽 등)문제
2. 금융불안(상업용 부동산, 정부 재정적자 등)
<상황>
시장대응을 잘 해야 하는 시기임.
투자를 쉬는 것이 좋다고 판단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