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斷想(투자일지)

16년 7/11일 주식시장과 파생시장 단상

자유투자자 2016. 7. 11. 15:59

 

 

 

 

 

상승하였습니다.

만기주 시작하자마자 변동성이 나왔네요.

시장환경이 좋은 덕분이라고 하겠네요.

미국시장 환경도 좋았고요.

일본 상황도 좋았죠.

이런 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정됩니다.

 

일일 매매상황을 보면,

외인은 아래, 개인은 위를 보고 있습니다.

오늘 저녁 미국시장을 봐야 하겠지만

분위기는 별로인 것 같네요.

일단 두고 봐야죠.

 

이전부터 이야기를 했지만,

인구절벽 문제가 서서히 다가오고 있습니다.

언젠가 연도별 출생인구를 올린 적이 있는데요.

2001년생부터 급격하게 줄었죠.

그 아이들이 올해 16살입니다.

중3인가요?

97년생들이 대학생이더군요.

맞는 것 같습니다.

아직은 경제에 큰 영향을 줄 정도는 아니지만

이미 신호가 나오고 있다고 봐야죠.

 

이들이 경제활동인구에 들어가기 시작했는데요.

당장에 표가 날 정도는 아니겠지만,

이런 상황이 이어지게 되면

한 10년 정도 있으면

상황이 크게 달라질 것으로 봅니다.

표가 난다는 것이죠.

지금은 생각할 수 없는 상황이

벌어질 것으로 추정됩니다.

당장 변화가 생기는 것은 아니지만,

시간이 갈수록 표가 날 것이라 봅니다.

 

경제적으로 가장 큰 타격이 있을 것이고요.

모든 면에서 변화가 있을 것이라 봅니다.

이미 그런 주장들이 나오고 있죠.

지금 당장의 일이 아니라고 해서

별다른 것이 나오지 않고 있지만요.

이게 상당히 심각한 문제라고 할 수 있죠.

 

위에서 경제적으로 가장 큰 타격이

있을 것이라 예상을 했는데요.

일단 수요가 줄어든다는 것입니다.

이런 상황은 주식시장과

부동산시장에도 영향을 주겠죠.

 

물론 혹자들은 그런 주장들을 합니다.

부동산의 경우에 부자들이

여러 채를 보유하게 되므로

별 영향이 없을 것이라고요.

그런데 말입니다.

부자들이 여러 채를 보유하면서

부동산가격이 고공권을 유지한다면

과연 어떤 상황이 벌어질까요?

여러 가지 상황이 예상되지만,

최악의 상황이 아니더라도

보유세가 증가할 가능성은 높죠.

과연 그런 세금을 부담하면서

부자들이 여러 채를 보유할까요?

저는 개인적으로 그렇게

긍정적으로 보지 않습니다.

그렇다고 반발을 하게 되면

상황은 더 악화될 가능성이 크죠.

 

주식시장도 연기금이

사실 시장을 지지하고 있는데요.

이것도 영구한 것이 아니죠.

잘 지지한다고 해도 2040년에서

2050년 정도입니다.

이것도 최선의 상황을 예상한 경우죠.

그 이전도 얼마든지 가능합니다.

결국 영구하지 않다는 것입니다.

 

하여간 중요한 것은

인구절벽 문제가 당장은 아니더라도

장기적으로 본다면

경제에 큰 영향을 준다는 것이죠.

지금부터 논의를 하고 대비해야 하는데요.

이게 장기문제이다보니

거의 그런 상황이 없는 것 같네요.

몇몇 주장만 있을 뿐이죠.

금융위기 상황도 대한 대비도 중요하지만,

인구절벽에 대한 대비도

상당히 중요하다고 생각됩니다.

일단 알고 있는 것이 좋겠죠.

 

 

---

 

<호재>
1. 유동성 풍부
2. 국민연금의 지속적인 자산증가.

 

<악재>
1. 유럽(영국, 프랑스, 동유럽, 남부유럽 등)문제
2. 금융불안(상업용 부동산, 정부 재정적자 등)

 

<상황>
시장대응을 잘 해야 하는 시기임.
투자를 쉬는 것이 좋다고 판단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