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斷想(투자일지)

16년 6/30일 주식시장과 파생시장 단상

자유투자자 2016. 6. 30. 16:05

 

 

 

 

강보합으로 마감하였습니다.

생각보다는 강한 모습인데요.

이게 얼마나 갈지는 모르겠습니다.

원래 가격조정이 심한 경우에

급하게 하락하는 경향이 있지만,

반대로 오를 경우에는 시간이 걸리죠.

그런 면에서 시간이 좀 걸릴 것 같습니다.

게다가 여러 변수도 있고요.

일단 두고 봐야 할 것 같네요.

 

일일 매매상황을 보면,

외인은 위, 개인은 변동성인데요.

흐름을 봐서는 당장 크게

오를 것 같지는 않아 보입니다.

상황에 따라서 다르긴 하지만요.

 

하긴 또 모르죠.

이런 상황에서 호재성 재료가 나오면

의외의 상승이 나올 수도 있죠.

하여간 많은 상황을 어느 정도

고려를 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가끔 이야기를 했습니다만,

어느 한 쪽이 큰 이익을 얻으면,

거의 제로섬게임인 금융시장에서는

반대편의 거래자가 있습니다.

그것이 드러나는 경우에는

크게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만,

만약 드러나지 않는 경우라면

나중에 문제가 될 수 있죠.

따라서 누군가 큰 이익을 봤다는 의미는

반대편의 거래자가 있다는 의미로

생각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보통 이익을 본 사람들은 문제를 일으키지 않지만

손실을 크게 본 이들은

나중에 문제를 일으킬 수가 있죠.

그런 경우가 한두 번이 아니고요.

지난 금융위기도 그와 유사한 경우라고 할 수 있죠.

버틸 수 있을 때까지 버티는 것이 보통인데요.

과연 앞으로 얼마나 더 버틸 수 있을까요?

저는 그게 참 궁금하네요.

 

브렉시트를 통해

일부 국가나 연합이 또 양적완화를 할 수도 있는데요.

이것도 금융시장에서는 일종의 호재로 작용하겠죠.

이전만큼의 영향을 가지지는 못하겠지만요.

그래봤자 경제적으로는 별 의미가 없죠.

시간연장 정도라고 봅니다.

경제건 금융이건간에

하여간 버틸 수 있을 때까지 버틸 것으로 봅니다.

그 기간이 얼마나 갈지는 모르겠지만요.

그걸 알면 신이겠죠.

문득 생각이 나서 적어 봅니다.

 

---

 

<호재>
1. 유동성 풍부
2. 국민연금의 지속적인 자산증가.

 

<악재>
1. 유럽(영국, 프랑스, 동유럽, 남부유럽 등)문제
2. 금융불안(상업용 부동산, 정부 재정적자 등)

 

<상황>
시장대응을 잘 해야 하는 시기임.
투자를 쉬는 것이 좋다고 판단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