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斷想(투자일지)

16년 5/2일 주식시장과 파생시장 단상

자유투자자 2016. 5. 2. 16:16

 

 

 

 

 

 

약보합으로 마감하였습니다.

오락가락하고 있네요.

지금은 조정기간이라고 할 수 있겠네요.

이번에 6일이 임시공휴일이라

6거래일 남았네요.

아마도 그동안 별 일이 없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다소간의 조정이 있을 수 있지만요.

오늘 매매상황을 보면

대충 조정이 마무리되는 것 같은데,

더 두고 봐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일일 매매상황을 보면,

외인은 변동성, 개인은 위를 보고 있습니다.

당장 큰 변수가 나올 것 같지는 않네요.

일단 두고 봐야 할 것 같습니다.

대충 느낌상 단기 조정 마무리는

되는 것으로 보이는데요.

이것도 지켜봐야죠.

외인들이 하는 것을 보면

이번 물은 아래로 포지션을 짠 것 같은데요.

그렇다면 만기까지는 별로 안 좋다고 봐야죠.

 

미국에서는 헬기머니가

논란이 되고 있는 것 같은데요.

쉽게 이야기를 해서

돈을 뿌리자는 것입니다.

상당한 논란이 되고 있는데요.

이 정책은 문제가 많죠.

당장 생각할 수 있는 것이

도덕적 해이를 가져올 수 있다는 것인데요.

당장 경제에는 효과적일 수 있지만,

그건 어디까지나 단기적인 효과이고요.

사람들에게 어떤 기대감을

가지도록 만드는 문제가 있죠.

항상 국가만 쳐다보고 있을테니까요.

공평성 문제도 발생할 수 있고요.

누굴 대상으로 하느냐에 따라서

반발이 생길 가능성이 농후하죠.

 

사실 어떻게 보면

우리나라에서 하고 있는

자녀장려금이나 근로장려금이

일종의 헬기머니라고 할 수 있죠.

규모가 그리 크지 않은 편이라

별 이야기가 없을 뿐이죠.

그리고 이게 규모가 크지 않아서

경제에도 큰 효과를

가져오고 있지는 않고요.

하여간 어떻게든

소비를 늘려보고자 하고 있습니다만,

아직 그렇게 좋은 효과를

가져오지는 않고 있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이건 어디까지나 단기적인 처방이지,

본질적인 처방이 아니죠.

효과도 일시적이고요.

미국에서는 이게 마중물 역할을

할 수 있다고 기대를 하는 것 같은데요.

그건 상황에 따라서 다르죠.

가능성도 그리 큰 편이 아니라고 봅니다.

규모를 얼마나 하느냐에 따라서

상황이 다를 것 같네요.

그리고 미국 정부의 입장에서 보면

그렇지 않아도 국가재정이 엉망인데요.

큰 규모로 할 수 있을지도 의문입니다.

 

---

 

<호재>
1. 유동성 풍부
2. 국민연금의 지속적인 자산증가.

 

<악재>
1. 유럽(영국, 프랑스, 동유럽, 남부유럽 등)문제
2. 금융불안(상업용 부동산, 정부 재정적자 등)

 

<상황>
시장대응을 잘 해야 하는 시기임.
투자를 쉬는 것이 좋다고 판단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