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斷想(투자일지)

16년 3/16일 주식시장과 파생시장 단상

자유투자자 2016. 3. 16. 16:09

 

 

 

 

 

강보합으로 마감하였습니다.

별다른 것은 없고요.

기간조정의 연속이네요.

오락가락하고 있습니다.

좋게 보자면 에너지 축적기간이고요.

나쁘게 보자면 추진력이 떨어진 것이죠.

보는 관점에 따라서

다르게 해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단기적으로는

좋게 보고 있지만요.

다른 돌발변수가 없다는 가정하에서요.

 

일일 매매상황을 보면,

외인은 아래, 개인은 위를 보고 있습니다.

그리 의미있는 수치는 아니고요.

조금 시간이 더 필요하다는 의미겠죠.

미국에서는 아마도 금리동결의 가능성이

더 큰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인상할 것 같지는 않은데요.

두고 봐야죠.

 

연기금이 투자전략을 전환했다고 합니다.

액티브에서 패시브로 바꿨다고 하네요.

요즘 연기금의 매매현황이 별로였는데요.

아마도 이런 전환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일단 추정하고 있습니다.

액티브에서 별로 수익이 안 좋았다고 하네요.

그래서 패시브로 바꾼다고 합니다.

결과적으로 보면

이건 더 수동적으로 가겠다는 의미인데요.

자금이 큰 관계로 뭐라고 하기 어렵네요.

아마도 금융기관들이 별로 안 좋겠네요.

그래서 요즘 기관들도

시들시들하는가 봅니다.

 

그리고 요즘 크라우드 펀딩이 이슈인데요.

글쎄요.

개인적으로 이건 위험하다고 봅니다.

물론 중개사들이 나름 위험을 줄이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할 것으로 보이지만,

그런다고 해서 달라질 것은 없죠.

단기투자라면 모르겠지만요.

벤처투자와는 조금 다르겠습니다만,

그래도 위험하다고 봅니다.

함부로 큰 금액을 투자해서는

나중에 낭패를 볼 가능성이 있으므로

주의를 하는 것이 좋다고 봅니다.

사기꾼들이 장난칠 가능성도 있고요.

사기꾼들이 작정을 하고 덤비면

그걸 막기가 쉽지 않죠.

그렇지 않아도 저금리 시대라

수익률로 현혹할 가능성이 큰데요.

크라우드 펀딩에 대해서

너무 낙관적인 생각은

하지 않는 것이 좋다고 생각됩니다.

아직 우리나라에서는 크게 터진 적이 없는데요.

외국에서는 그런 사례가 나오고 있죠.

조심을 하는 것이 좋다고 봅니다.

 

---

 

<호재>
1. 유동성 풍부
2. 국민연금의 지속적인 자산증가.

 

<악재>
1. 유럽(영국, 프랑스, 동유럽, 남부유럽 등)문제
2. 금융불안(상업용 부동산, 정부 재정적자 등)

 

<상황>
시장대응을 잘 해야 하는 시기임.
투자를 쉬는 것이 좋다고 판단됨.